프리랜서들의 사례 – 작가, 번역가, 그리고 기타 프리랜서

다양한 상황에서 사업자 등록을 선택하거나 하지 않은 한국 프리랜서들의 사례를 소개합니다. 이 사례는 작가, 번역가, 그리고 기타 프리랜서 업종에 종사하는 사람들의 경험을 토대로 작성되었습니다.


1. 이정훈 (가명) – 웹소설 작가, 사업자 등록 선택

상황:
이정훈은 30대 후반의 웹소설 작가로, 플랫폼을 통해 연재하고 출판사와 전자책 계약을 맺고 있습니다. 월 평균 500만 원 이상의 수익이 발생하며, 일부 수익은 해외 독자들로부터 발생합니다.

결정:
사업자 등록을 선택.

이유와 장점:

  1. 필요 경비 공제:
    • 글쓰기에 필요한 노트북, 자료 조사비, 워크숍 참가비 등을 경비로 처리해 연간 약 300만 원의 세금을 절감.
  2. 부가가치세 환급:
    • 소설 집필에 필요한 소프트웨어와 서적 구매 시 부가가치세를 환급받아 비용 절감.
  3. 신뢰도 상승:
    • 출판사와 계약 시 “사업자 등록 여부”가 협상의 중요한 기준으로 작용.
  4. 대출 용이성:
    • 사업자 등록을 통해 소득 증빙을 명확히 하여, 주택 담보 대출을 받는 데 성공.

단점:

  • 세무 신고가 복잡해 세무사를 고용해야 했으며, 연간 약 60만 원의 추가 비용이 발생.
  • 건강보험료가 지역가입자로 전환되어 월 25만 원으로 상승.

2. 김혜진 (가명) – 프리랜서 번역가, 사업자 등록하지 않음

상황:
김혜진은 20대 후반의 프리랜서 번역가로, 해외 클라이언트를 대상으로 원서 번역 및 검수를 진행합니다. 월 평균 수익은 200만 원 정도로, 생활비를 간신히 충당하는 수준입니다.

결정:
사업자 등록을 하지 않음.

이유와 장점:

  1. 세금 부담 회피:
    • 수익이 낮아 종합소득세를 신고해도 세금 부담이 거의 없어 등록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함.
  2. 단순한 행정 절차:
    • 사업자 등록이 없으므로 부가가치세 신고나 기타 세무 업무에 신경 쓸 필요가 없음.
  3. 건강보험 부담 완화:
    • 부모님 건강보험의 피부양자로 등록되어 보험료 부담이 없음.

단점:

  • 클라이언트와의 계약 과정에서 “사업자 등록 여부”를 묻는 질문이 종종 나와 신뢰도가 낮게 평가됨.
  • 소득 증빙 자료가 없어 신용카드 발급과 대출에 제약.

3. 박준수 (가명) – 에세이 작가 겸 강연가, 사업자 등록 선택

상황:
박준수는 에세이를 집필하며, 이를 기반으로 기업이나 학교에서 강연을 진행합니다. 월 평균 수익은 700만 원에 달하며, 강연료와 책 판매 수익이 주요 수입원입니다.

결정:
사업자 등록을 선택.

이유와 장점:

  1. 세금 공제 극대화:
    • 강연 준비와 관련된 자료비, 차량 운행비, 출장비 등을 경비로 처리해 연간 약 500만 원 절감.
  2. 신뢰성 강화:
    • 강연 계약 시 사업자 등록증이 필수였기 때문에 등록 후 강연 의뢰가 급증.
  3. 퇴직금 대체:
    • 국민연금에 자영업자로 가입해 노후 대비를 체계적으로 준비.

단점:

  • 건강보험료가 월 40만 원으로 상승해 부담이 늘어남.
  • 강연 시즌이 아닐 때 수익이 줄어도 고정비용(세무사, 보험료 등)은 계속 발생.

4. 이수연 (가명) – 그림책 작가 겸 일러스트레이터, 사업자 등록하지 않음

상황:
이수연은 그림책과 삽화를 그리는 프리랜서 작가로, 주로 국내 출판사와 협업하며 월평균 300만 원의 수익을 올립니다. 다만, 매출은 프로젝트별로 변동이 큽니다.

결정:
사업자 등록을 하지 않음.

이유와 장점:

  1. 수익 변동 대응:
    • 매출이 일정하지 않아 사업자 등록에 따른 부가가치세 신고가 부담으로 작용.
  2. 단순한 작업 구조:
    • 출판사와의 계약에서 사업자 등록증이 필수는 아니었음.
  3. 건강보험 유지:
    • 지역가입자가 아닌 가족 피부양자로 등록되어 보험료 부담이 없음.

단점:

  • 필요한 경비(재료비, 작업실 임대료 등)를 세금 공제로 처리하지 못함.
  • 소득 증빙이 어려워 외국 클라이언트와의 신뢰 문제로 이어짐.

5. 최민호 (가명) – 기술 번역가 겸 컨설턴트, 해외 활동 중심, 사업자 등록 선택

상황:
최민호는 40대 중반의 기술 번역가로, IT 기술 문서를 번역하고 해외 기업 컨설팅을 진행합니다. 월평균 수익은 1,000만 원 이상이며, 주요 거래 상대는 해외 클라이언트입니다.

결정:
사업자 등록을 선택.

이유와 장점:

  1. 해외 거래 신뢰성 확보:
    • 사업자 등록증과 거래 내역을 통해 해외 클라이언트에게 신뢰를 제공.
  2. 부가가치세 환급:
    • 업무용 장비(고성능 컴퓨터, 소프트웨어 등)를 구매하며 약 200만 원의 부가가치세를 환급.
  3. 국제 결제 수수료 절감:
    • 사업자 계좌 개설로 국제 송금 및 결제 수수료를 크게 줄임.
  4. 정부 지원 프로그램 참여:
    • 중소기업청에서 제공하는 수출지원금을 받아 약 300만 원의 혜택을 누림.

단점:

  • 한국과 해외에서의 세무 신고가 복잡해 연간 세무사 비용이 약 150만 원 발생.
  • 건강보험료와 국민연금이 합산되어 월 60만 원 이상의 부담.
프리랜서

***

이 5가지 사례는 프리랜서들이 자신의 수익, 업종, 거래 구조에 따라 사업자 등록 여부를 선택한 다양한 경험을 보여줍니다. 수익 규모가 크거나 장기적으로 안정적인 거래를 원하는 경우 사업자 등록이 유리하며, 초기 단계이거나 수익이 적다면 단순 프리랜서로 활동하는 것도 현실적인 선택이 될 수 있습니다.

Leave a Comment